한국도자재단, ‘박물관 길 위의 인문학-박물관 도자 문화 강좌’ 참가자 선착순 모집

○ 문화 해설사, 도예가, 관련 전공자, 일반 시민 등 성인 누구나 참여 가능
- 1기, 2기 각 150명, 3기 30명(강좌별) 등 총 510명 선착순 모집, 참가비 무료
○ 1기 ‘깊이 있는 우리도자 이야기’(10회), 2기 ‘도자로 보는 세계사’(7회),
3기 ‘방방곡곡 문화유산 탐방’(7회) 등 6월부터 11월까지 총 24회 진행

박승규 | 기사입력 2022/05/24 [12:34]
박승규 기사입력  2022/05/24 [12:34]
한국도자재단, ‘박물관 길 위의 인문학-박물관 도자 문화 강좌’ 참가자 선착순 모집
○ 문화 해설사, 도예가, 관련 전공자, 일반 시민 등 성인 누구나 참여 가능
- 1기, 2기 각 150명, 3기 30명(강좌별) 등 총 510명 선착순 모집, 참가비 무료
○ 1기 ‘깊이 있는 우리도자 이야기’(10회), 2기 ‘도자로 보는 세계사’(7회),
3기 ‘방방곡곡 문화유산 탐방’(7회) 등 6월부터 11월까지 총 24회 진행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네이버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 주간시흥


[주간시흥=박승규 기자] 

 

한국도자재단이 ‘2022 박물관 길 위의 인문학-박물관 도자 문화 강좌’ 참가자를 모집한다.

 

이번 강좌는 인류 문화유산인 도자를 주제로 역사, 문화, 사회 등의 강의를 통해 도민들의 인문학적 소양을 기르고 우리 도자 문화의 소중함을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박물관협회가 주최·주관하고 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이 운영한다.

 

모집 인원은 총 510명으로 1, 2기는 각 150명씩, 3기는 강좌별 30명씩 210명을 모집한다. 별도의 신청 기한은 없으며 강좌별로 선착순 마감한다.

 

문화 해설사, 도예가, 관련 전공자, 일반 시민 등 성인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참가비는 무료다.

 

강좌는 6월부터 11월까지 총 24회 진행된다. ▲1기 ‘깊이 있는 우리 도자 이야기’(10회) ▲2기 ‘도자로 보는 세계사’(7회) ▲3기 ‘방방곡곡 문화유산 탐방’(7회)로 1, 2기는 온라인 강의, 3기는 현장답사 프로그램이다.

 

세부 내용을 보면 1기 ‘깊이 있는 우리 도자 이야기’는 ▲선사시대 한반도의 토기 문화(6월 2일) ▲삼국시대 토기의 흐름(6월 8일) ▲해남의 고려 도자 생산과 철화청자(6월 16일) ▲차(茶) 문화의 유행과 고려청자(6월 23일) ▲조선시대 청화백자의 특징과 변화(6월 30일) ▲조선 철화백자의 등장과 유행(7월 7일) ▲조선 왕실 백자의 산실 분원(7월 14일) ▲조선시대 사람들의 생활 속 도기 이야기(7월 21일) ▲철화분청사기의 유행과 계룡산(8월 11일) ▲하재 일기로 보는 분원백자(8월 18일)로 구성됐다.

 

2기 ‘도자로 보는 세계사’는 ▲황하문명과 토기(8월 25일) ▲중국 홍산문화와 한반도(9월 1일) ▲죠몽, 야오이시대 일본 토기 문화(9월 15일) ▲마야·잉카문명의 이해(9월 22일) ▲메소포타미아문명과 토기(9월 29일) ▲인더스문명과 토기(10월 6일) ▲실크로드 유목민의 그릇(10월 13일) 등이다.

 

3기 ‘방방곡곡 문화유산 탐방’은 현장 전문가 강의가 더해졌다. ▲조선의 법궁, 경복궁(6월 24일) ▲궁궐의 면모, 화암사지(7월 5일) ▲한탄강의 기적: 전곡리 유적과 전곡선사박물관(7월 19일) ▲큐레이터(curator)와 함께 하는 공예의 세계, 서울공예박물관(8월 23일) ▲처인성 전투와 김윤후, 용인시립박물관(9월 14일) ▲호로고로성과 고구려 성곽, 연천 호로고루성 일대(9월 27일) ▲세계도자기의 흐름과 국립중앙박물관(11월 22일) 등이 예정돼 있다.

 

강좌 종료 후 기수별로 80% 이상 수강한 1, 2기 참가자에게는 온라인 수료증을, 3기 참가자에게는 현장답사 참여 확인증을 발급할 예정이다.

 

신청은 한국도자재단 누리집(www.kocef.org)에서 온라인 예약 시스템을 통해 참가 신청서를 작성, 제출하면 된다.

 

서흥식 한국도자재단 대표이사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대중들이 도자 문화에 대한 소중함을 공감하고 지역 문화유산에 대한 자긍심을 높일 수 있게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네이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간시흥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