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맹부터 시흥 장인전까지, '온고지신'으로 만드는 시흥

김세은 | 기사입력 2024/11/05 [10:04]
김세은 기사입력  2024/11/05 [10:04]
강희맹부터 시흥 장인전까지, '온고지신'으로 만드는 시흥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네이버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주간시흥=김세은 기자] 

 

시흥시가 전통문화의 명맥을 잇고, 이를 통해 문화 발전을 이루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2005년부터는 전문 예술 단체인 시흥시립전통예술단을 운영하며 전통문화를 통해 새로운 예술의 차원을 만들어 가고 있다. 전통 연희인 풍물·탈춤·무속·남사당놀이 등 전통문화를 오늘의 감성에 맞게 공연하며 시흥시 문화 브랜드로 자리 잡기도 했다.

 

               올해 4월 열린 시흥시립전통예술단 정기공연

 

특히 올해는 시흥시 전통문화에 있어 굵직한 이슈가 많았다. 시흥시 연꽃의 아버지 강희맹 선생의 탄생 600주년을 맞아 한 해 동안 다양한 기념사업이 진행됐고, 월미농악은 시흥시 향토무형유산으로 지정됐다. 현재는 시흥시를 기반으로 전통작품 세계를 만들어 가는 장인들의 전시가 이어지고 있다.

 

월미농악, 시흥시 전통을 잇다, 알리다

 

월미농악은 시흥시 물왕동의 월미마을 일원을 중심으로 전승돼 온 지역 고유의 대표적인 무형유산이다. 농민들이 악재를 물리치고 풍년을 기원하며 즐기던 농악놀이의 일종으로 남아 있다.

 

농악은 우리나라 전역에서 행해지는 가장 전통적인 민족 예술이다. 농업을 기반으로 한 우리나라 역사에서 늘 민족의 삶에 함께하며 시름을 잊고 삶을 풍요롭게 영위할 수 있도록 했다.

 

               월미농악 공연 모습

 

월미농악은 지난 2007년 월미농악 보존회가 설립되면서 지역 전통문화의 명맥을 잇는 주요 자원으로 자리 잡았다. 전통의 맥을 이어가야 한다는 절실한 마음으로 모인 사람들에 의해서다.

 

이들은 월미농악의 정체성을 이어가는 동시에 새로운 시도를 통해 또 다른 예술성까지 획득했다. 그 결과 전주대사습놀이 차하(2004), 안성 바우덕이축제에서 대상(2004)과 최우수상(2005), 김제 지평성축제에서는 전국농악경연대상(2009), 평택 지영희국악대제전에서는 전국 농악 경연 대상(2010)을 수상하는 등 전국적으로도 널리 이름이 알려졌다.

 

특히 올해는 월미농악이 시흥시 향토무형유산으로 지정된 의미 있는 해였다. 시는 월미농악 보존회를 계승단체로 인정하고 보존ㆍ전승하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단체는 전통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해 관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인재 양성에도 열을 쏟고 있다.

 

특히 집중하는 것은 시민들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것이다. 월미농악은 시의 주요 행사나 축제의 단골손님이다. 화려한 음악과 의상, 눈을 뗄 수 없는 공연으로 시민들에게 시흥시 전통문화 유산인 월미농악의 우수성을 알려 나가고 있다.

 

장인의 숨결, 지역 곳곳에 문화예술의 생기로

 

시흥시는 그간 다양한 장인들의 전시를 통해 시민들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넓혀왔다. 특히 시흥시에 기반을 두고 시대의 속도가 아닌 자신만의 속도로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만들어 가는 장인전은 지난해부터 이어지며 시민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배곧 아트큐브에서 하반기 기획전시 우리 시대 장인전을 진행하고 있다. 전시회에 참가하는 장인은 총 3인으로, 임선빈(북 메우기), 오평숙(옻칠), 김이랑(짚풀) 씨다.

 

북 메우기 장인 임선빈(74, 과림동) 씨는 66년간 북 만드는 일을 이어가고 있는 국내 대표 북 메우기 장인으로, 2022년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북 메우기)으로 인정됐다. 1988 서울 올림픽 기념 대북 제작과 청와대 춘추관 대북 제작 등에 참여했으며 선천적인 소아마비로 인해 한쪽 다리가 불편함에도 열정적으로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옻칠장인 오평숙(73, 신천동) 씨는 2001년 경기도 옻칠 분야 경기으뜸이선정, 경기도 향토지적 재산으로 지정됐으며 일본 국보 벽화 복원 작업에 참여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옻칠공예 장인이다. 두 번의 암 투병을 극복하고 꾸준히 작업을 이어 나가고 있다.

 

               짚풀공예 장인 김이랑씨 작업모습

 

짚풀공예 장인 김이랑(63, 물왕동) 씨는 2018년 대한민국 숙련기술 전수자로서 미국, 독일, 일본 등 세계 각국에서 짚풀공예의 아름다움을 알리는 전시를 진행했으며, 향토 민속문화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바탕으로 시흥시향토민족보존회 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오는 10일까지는 짚풀공예 장인 김이랑 씨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직접 짚풀공예의 매력을 느껴볼 수 있는 새끼줄 꼬기 등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어 가족 단위 방문객들에게 전통문화를 체험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강희맹 탄생 600주년, 연꽃의 의미 널리 알려

 

시흥연꽃테마파크(시흥시 관곡지로 139)100종이 넘는 연꽃을 만날 수 있는 수도권 대표 연꽃 재배지다. 작은 못에서 발아한 연꽃이 지금에 이르러서는 전국 관광객이 연중 찾는 대형 단지로 자라난 것이다. 연성(연꽃이 피는 마을)이라는 지명 역시 여기서 유래했다.

 

               강희맹 선생이 전당홍을 심었다고 알려지는 관곡지 전경. 옆쪽으로 연꽃테마공원이 펼쳐진다

 

연꽃테마파크에 100종이 넘는 연꽃들은 시흥의 명물이다. 보통 7월 중순에 개화를 시작해 8월에 절정에 이르고, 9월 중순까지 볼 수 있다. 약 두 달 간 모습을 드러낸 연꽃은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면 다시 물속으로 몸을 숨긴다.

 

시흥의 여름을 상징하는 이 꽃은 사실 조선 중기 한 문인에 의해 시작됐다. 강희맹 선생은 세조 9(1463) 중추원부사로서 진헌부사가 돼 명나라에 사신으로 간다. 그리고 돌아오는 길에 남경에 있는 전당지에 들러 당시까지 국내에 없던 새로운 종류의 연꽃씨를 가지고 귀국하게 된다.

 

그 연꽃이 바로 전당홍이다. 다른 연꽃과는 달리 꽃의 색이 희고 꽃잎은 뾰족하며 꽃의 끝부분이 옅은 담홍색을 띤다. 강희맹은 이 연꽃을 지금의 하중동 관곡지에 심었고, 이 연꽃이 차츰 널리 퍼지며 연꽃 마을을 이루게 됐다.

 

올해는 시흥 연꽃의 아버지 강희맹 선생 탄생 600주년이 되는 해다. 시흥시는 다양한 기념행사를 마련해 시민들과 함께 선생 탄생 600주년을 축하했다.

 

특히 지난달 말 열린 연성문화제는 강희맹 탄신 600주년을 기념하며 의미를 더했다. 강희맹 선생의 전당홍이 심겨진 시흥 연꽃테마파크에 시립전통예술단과 전통예술동아리 등 다채로운 전통문화예술 프로그램이 펼쳐졌다.

 

뿐만 아니라 축제에서는 강희맹을 주제로 한 인문 강연을 통해 문학자 및 농학자로서의 강희맹 선생의 생애와 업적을 깊이 이해할 기회를 제공했다. 선선한 날씨와 시흥의 자연 아래 펼쳐진 전통문화 전시와 체험 부스 역시 전통문화에 대한 시민들의 이해를 도왔다.

 

시는 명나라에서부터 전당홍 연꽃씨를 쥐고 고국으로 향한 선생이 꿈꿨을 시흥의 모습과, 애민 정신으로 내디뎠을 그 발걸음을 기억하며. 다양한 기념사업을 통해 선생의 업적을 기리고 이어 나갈 방침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네이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간시흥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