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와 기대수명 증가, ICT, IoT 기술발전 등으로 헬스케어 영역이 일상생활에서의 건강관리, 질병의 사전예방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헬스케어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경기도 지역사회 공공 스마트 헬스케어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29일 글로벌 헬스케어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고, 국내 보건의료 현안과 경기도 공공 헬스케어 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한 ‘질병예방과 건강수명연장을 위한 지역사회 공공 스마트 헬스케어 모델 구축’ 보고서를 발표했다.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은 2012년 80.87세에서 2016년 82.36세로 증가했지만, 건강수명은 동일기간 65.7세에서 64.9세로 하락하는 추세이다. 급격한 사회환경 변화로 비만, 만성질환 등 생활습관에 관한 질환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건강한 삶을 위한 예방과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내 의료시스템의 경우 ‘질병발생 시 사후 치료’ 위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의료기관’ 중심의 의료정보관리 및 질병발생 후 치료 중심의 서비스 제공체계 및 진료비 지불체계로 인해 질병의 사전예방과 환자에 대한 교육·상담, 건강관리 등 포괄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은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대비하여 기존 의료기관 중심에서 이용자 중심의 통합 건강정보체계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며 “예방 및 건강관리 차원의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공공 부문이 선도적으로 스마트 헬스케어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기도 지역사회 공공 스마트 헬스케어 모델 구축 방안으로 ▲개인의 진료정보, 실시간 건강상태, 유전자정보 등을 제공하는 ‘통합건강정보시스템’ 구축 ▲AI를 활용한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 및 솔루션’ 구축 ▲경기도형 스마트 헬스케어 센터 설치 및 유관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 ▲스마트 헬스케어 코디네이터 양성을 제안했다.
특히 스마트 헬스케어 모델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참여가 필수적이며, 경기도 내 공공의료기관과 민간의료기관을 연계하여 환자에 관한 의료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전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연구위원은 “개인의 건강과 의료, 복지에 관한 정보들은 병원, 보건소, 요양시설, 복지시설 등 지역사회 내 다양한 기관에 분산되어 있어 통합건강관리에 어려움이 있다”며 “경기도는 AI를 활용한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과 솔루션을 구축하여 개인별 건강관련 정보들을 통합·연계하는 코디네이션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