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 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연간 10조 원

주간시흥 | 기사입력 2017/01/30 [10:46]
주간시흥 기사입력  2017/01/30 [10:46]
알레르기 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연간 10조 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네이버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국내 알레르기 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10조 원 이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은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알레르기 질환에 관한 국내 사회경제적 손실 비용을 추계한 알레르기 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추계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아토피성 질환인 천식과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등 국내 대표적인 알레르기 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 비용을 2014년 기준 22,000억 원으로 추계했다.

사회경제적 손실 비용은 알레르기 질환으로 인해 병의원, 약국을 이용하는 데 지출하는 직접 의료비(양방)를 비롯해 교통비·간병비를 포함한 직접 비의료비, 조기사망과 생산성 손실로 인한 간접비를 합한 총 비용이다.

이 중 알레르기 비염이 58.6%13,000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천식이 7,000억 원으로 33.2%, 아토피 피부염이 2,000억 원으로 8.3%였다.

이는 2014년 기준 우리나라 총 국내총생산(GDP)0.15%에 해당하는 규모다. 특히 한의학 및 민간요법 등 보완대체의학의 지출 비용까지 적용했을 때, 국내 알레르기 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은 연간 10조 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연구위원은 향후에도 우리나라의 알레르기 질환으로 인한 질병부담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국가적으로 알레르기 질환의 감소를 위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현재까지 국내·외 개별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이번과 같이 정형화된 방법론을 적용해 전반적인 알레르기 질환에 대해 포괄적으로 사회경제적 비용을 산출한 연구는 처음이라며 향후 경기도에서는 아토피센터를 비롯한 다양한 공공인프라를 활용하여 환자와 가족들의 고통을 경감시키는 등 지속적인 관리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편, 수원시의 환경성질환(아토피성 질환) 치유센터 운영프로그램 개발연구를 살펴보면 2011년 기준 우리나라에서 아토피성 질환을 가지고 있는 전체 유병자 중 50%가 넘는 4,680천명의 환자가 수도권에 몰려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네이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간시흥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