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정차 단속 알림 앱 ‘휘슬’, 공공 데이터 활용 우수사례로 소개

행정안전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선정 공공 데이터 활용 우수기업 ‘휘슬’
전국 통합 불법주정차 알림 서비스 중심으로 주차장 정보 함께 제공해 차량 이동 유도

박승규 | 기사입력 2022/12/12 [17:59]
박승규 기사입력  2022/12/12 [17:59]
주정차 단속 알림 앱 ‘휘슬’, 공공 데이터 활용 우수사례로 소개
행정안전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선정 공공 데이터 활용 우수기업 ‘휘슬’
전국 통합 불법주정차 알림 서비스 중심으로 주차장 정보 함께 제공해 차량 이동 유도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네이버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 휘슬이 행정안전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가 선정하는 공공데이터 활용 우수 사례로 소개됐다  © 주간시흥


[주간시흥=박승규 기자] 

스마트한 운전자를 위한 통합 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앱 ‘휘슬(Whistle)’이 우리 정부가 선정하는 공공 데이터 활용 우수 사례로 소개됐다. 휘슬은 양질의 공공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 받았다.

휘슬은 헥토그룹과 회사 관계사로 편입된 아이엠씨티가 공동으로 개발한 서비스 브랜드다.

휘슬은 전국 통합 주정차 단속 알림 서비스를 제공해 과태료 부과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앱이다. 과태료 확인 및 납부, 무료 교통 법률 상담 서비스, 테슬라 자체 급속 충전소 ‘슈퍼차저’ 정보 공유, 개인정보 노출 없이 차 번호로 대화하는 휘슬채팅 등 운전자와 관련된 다양한 편의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휘슬의 주정차 단속 알림 서비스는 불법 주정차 차량으로 단속되기 전 알림을 보내 주정차 금지 구역에 주차된 차량 이동을 유도해 운전자의 실수로 인한 과태료 부과를 막아 주고 주차 질서 확립에 기여한다. 단속 알림과 함께 주변 주차장 정보를 제공해 운전자의 편의와 교통 질서 확립 등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 최근에는 차에 리콜 정보가 발생하면 푸시 알림으로 알려주는 리콜 정보 제공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행정안전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공공 데이터의 우수한 활용 사례를 공공 데이터 포털에 소개하며, 기업의 공공 데이터 활용을 독려하고 있다. 휘슬 서비스와 관련한 카드뉴스 및 인터뷰 영상은 행정안전부 및 공공 데이터 포털 홈페이지, 행정안전부 공식 유튜브를 통해 업로드될 예정이다.

휘슬 담당자는 “휘슬은 그동안 공공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이용자 친화적인 서비스를 개발해왔으며, 이를 인정받아 공공 데이터 활용 우수기업 사례로 소개되는 영광을 얻었다”며 “앞으로도 휘슬은 활용 가치가 높은 공공 데이터를 접목해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안전한 교통 문화를 함께 만들어가는 서비스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현재 휘슬은 경기도 안양시, 파주시, 이천시, 충남 천안시, 경남 남해군, 부산 해운대구, 제주도 제주시 등 전국 37개 지자체에서 통합 주정차 단속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s://www.hectoinnovation.co.kr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네이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간시흥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