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8만~10만 명 서울에서 경기로 이주,

신규 이주자들의 일자리와 통근 지원해야

주간시흥 | 기사입력 2017/04/30 [10:07]
주간시흥 기사입력  2017/04/30 [10:07]
매년 8만~10만 명 서울에서 경기로 이주,
신규 이주자들의 일자리와 통근 지원해야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네이버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서울에서 경기도로의 이주 증가로 경기도 인구가 201731,310만 명대로 진입한 가운데, 인구이동에 따른 일자리 지원과 통근지원정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최근 5년간 인구이동 패턴과 유형을 분석하고 한국노동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도권 노동시장의 변화에 관한 분석을 실시한 수도권 인구이동 요인과 고용구조 변화보고서를 발표했다.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수도권 내 인구이동 경향을 분석한 결과, 2005년 서울에서 타 시도로 이동한 인구가 51,007명이였고 2010년에는 2배 규모인 115,023, 2015137,256명으로 나타났다. 특히, 매년 8~10만 명이 서울에서 경기도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0년 이후 대단위 주택단지가 개발되고 있는 남양주, 파주, 고양, 성남, 김포 등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인구이동의 결과로 발생하는 통근현상을 분석한 결과, 타 시도에서 서울로 통근하는 인구는 약 121만여 명으로 이 중 경기도민이 86.6%(1백만여 명)에 달했다.

서울로 통근하는 경기도민의 학력별 분포는 대부분의 시군에서 대졸자의 비중이 절반을 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특히, 용인시 수지구(88.4%), 성남시 분당구(86.4%), 수원시 영통구(83.6%), 용인시 기흥구(80.3%), 과천시(80.3%)는 전체 서울 통근자의 80%이상이 대졸 이상의 학력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로 통근하는 경기도민의 직업별 분포를 살펴보면,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비중이 29.7%로 가장 높았고 사무종사자 24.9%, 판매 종사직이 13.6%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단순노무직은 5.8%, 서비스 종사자는 6.6%으로 나타났다.

고학력 및 전문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근로자들은 경기도내 대도시권에 거주하며 서울로 통근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 임금수준과 직업지위가 높은 정규직 근로자들이 수도권 지역에서 광범위한 지역으로 구직과 근로활동을 하고 있었다. 반면, 저임금·저숙련 일자리에 종사하는 근로자와 기혼 여성 근로자들은 상대적으로 거주지 근처로 근무지를 한정시키는 경향을 가지고 있었다.

최석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도로 이주하여 통근이 어려운 근로자는 거주지 근처에서 저임금과 저숙련 일자리를 구할 가능성이 있다기혼 여성 근로자들은 가사와 육아 문제로 거주지 근처에서 일자리 찾고 싶지만 본인이 원하는 임금 수준과 직업지위의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경력단절을 경험하거나 저임금·저숙련 일자리로 하향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최 연구위원은 인구 이동에 따른 고용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도는 신규 이주자들의 일자리와 통근 지원 정책을 강화해야 하며, 기혼 여성 근로자들의 일-가족 양립을 지원하여 경력단절을 최소화하고 근로활동을 할 수 있는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네이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간시흥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